주식

유투브 자막을 번역해주는 국내 번역 앱(f. 플리토) (간단 리뷰)

뜬구름홍 2021. 8. 9. 21:05
728x90
300x250

https://www.flitto.com/

안녕하세요! 뜬구름 홍 입니다.

최근 미국 주식에만 관심을 갖다가 문득 국내 주식에 대해 관심이 생겼습니다.

(사실 주말에 책을 읽으면서 4차 산업혁명 기술에 잠시 생각하다가 문득 번역? 관련 된 기술이 생각이 나더라구요!)

그 중에 번역 ! 관련 AI(인공지능), ML(머신러닝), 딥러닝, 플랫폼 등등을 제공하는 '플리토'라는 국내 업체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4차 산업혁명에 왠 번역 이냐구요? 맞습니다. 저도 번역이 4차 산업혁명에 왜 필요할까? 라는 고민을 해봤는데, 향후 우리의 미래는 이제 타이핑치고 자판/키보드 가 필요 없는 세상에 살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모든 서비스들을 음성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 같더라구요!

최근 티맵이나, 애플의 시리, 아마존의 알렉사 등등 음성 인식이 과거 2~3년 보다 훨씬 좋아졌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 만큼 음성인식에 관련된 기술들에 대한 투자와 기술의 진보가 너무나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 국내 '특례상장' 한 '플리토' 라는 회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플리토(Flitto)>

≫ 연혁(상장일) : 2012년 8월(2019년 7월)
≫ 주요 포트폴리오 : 플랫폼(플리토 앱)을 통해 수집된 언어 데이터를 검수 및 정제 후 판매하거나, 번역가 자원(다수의 개인 번역가들에게 번역 플랫폼 내 일자리 제공) 및 자동화된 시스템을 이용한 번역 데이터 구축 서비스(흔히 우리가 아는 번역 서비스 - 구글 번역, 네이버 파파고 등)

 

자! 그럼 플리토의 분기보고서(21.5월) 내용 중 4차 산업과 관련된 내용들을 추려보겠습니다.

 

(분기보고서 내용 중에서)

 

(가) 음성인식 시장의 확대 -> 저는 특히나 운동시에 스마트폰을 거의 보지 않습니다. 음량 조절, 전화, 메시지, 전화 등은 무조건 시리를 이용해서 쓰고 있습니다... 너무 편하더라구요...!(과거와 달리)

말 한마디로 날씨 예보는 물론 좋아하는 음악, 사고 싶은 물건에 대한 쇼핑 정보를 알아낼 수 있을 정도로 음성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일상 속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본격적인 확산과 맞물려 다양한 분야로 점차 확대될 전망입니다. 

후 스마트카, 스마트홈 등 가까운 우리의 주변은 물론, 의사 소견을 알아듣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AI병원, 음성만으로 주문을 처리하는 AI마트 등 다양한 산업까지 우리 일상내 모든 접점에서 음성인식 기술이 접목된 인공지능의 사용 범위가 넓어질 전망입니다.

2015 년 세계 음성 인식기술 시장 규모는 약 6억달러였으나, 2016 년에서 2024 년까지 연평균 26.99 % 성장하여 2024년 세계 음성 인식기술 시장 규모가 약 71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플리토 분기보고서

(3) 이미지인식(Image Recognition) 시장 -> 플리토 앱 내 사진을 찍으면 번역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해봤는데, 상당히 괜찮더라구요... 제가 찍은 사진을 번역 해줬는데, 오차가 아예 없습니다...

글로벌 이미지 인식 시장 규모는 2015 년 약 12억달러였으나, 2016 년부터 2025 년까지 연평균 19.2 %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누구나 어디서든 쉽고 빠르게 인터넷에 접속하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각종 소셜 미디어와 웹 서비스가증가함에 따라 이미지인식 기술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리토 분기보고서

(가) 전체 언어서비스 규모 및 전망 -> 참고로 번역서비스를 일반인들이 사용할 경우가 거의 없을 거 같긴합니다만, 제가 이전 외국계기업에 다닐 때는 정말 많은 번역 서비스를 요청했었습니다...(매뉴얼 번역, 자료 번역 등등)

시장 조사 전문 기관인 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번역시장 규모는 2021년 약 562억달러로 2009년 235억달러 대비 1.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종 산업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글로벌 번역시장은 매년 빠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플리토 분기보고서

그리고 인상 깊었던 플리토 플랫폼의 구성도 입니다.

간단히 설명해보면, 1. 플리토 플랫폼 사용 2. 다양한 언어 데이터 공급자 / 수요자(서로 전환가능) 을 통해 다양한 언어가 플리토 플랫폼 위에서 데이터 축적 3. 축적된 데이터로 플리토 내 AI, 머신러닝, 딥러닝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번역 서비스 제공

*위의 구성도를 보면 역시나 언어 플랫폼은 방대한 DATA가 필수 인 것 같습니다 = 진입장벽이 높음

 

플리토 분기보고서

(라) 신규 사업

플랫폼매출로 분류되는 영상 콘텐츠 관련 번역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투브 동영상 자막)

당사의 영상 콘텐츠 관련 사업의 경우, 당사 자체의 동영상 음성 소스 추출 및 음성 인식 기술(STT; Speech to Text)을 활용하여, 영상에서 텍스트 및 음성데이터를 번역 가능한 형태로 추출합니다. 

이렇게 구축 및 정제된 영상 언어 데이터는 MCN 기업(인터넷방송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1인 창작자들을 지원, 관리하며 수익을 공유하는 기업)등에 판매 됩니다.

플리토 분기보고서

(기타)

 

(나) 정부기관의 수요 증가

공공의 목적에 따라 국가 차원의 데이터 확보를 위한 사업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2014년 정부기관과의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공공 데이터 구축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현재 2020년 도쿄올림픽의 개최로 일본 내 고객사와의 논의가증가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할 국가 행사로 인하여언어데이터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당사는 플랫폼 내 집단지성을 활용한 생산방식으로 언어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내에 참여하는 1천만명 이상의 유저들을 통해 상시 생산되어 구축되는 당사의 집단지성 방식은 전문가 생산방식 대비 낮은 비용에도 빠르고 정확한 언어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합니다.

 

타 경쟁사 대비 높은 경쟁력

플리토 분기보고서

당사는 플랫폼을 통해 25개 언어를 지원하고 있으며

 

직원 등 현황 : 총 68명 근무(21.3.31 기준)

 

역시나 조사를 하다보니 이렇게 기업 조사를 끝내기가 너무 아쉬운 느낌이 듭니다. 

이번 편은 간단한 플리토에 대한 분석이기 때문에 곧 보다 상세한 내용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무튼! 모두들 건강하시고 성투하셔서 부자되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