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자기개발 등

(끄적임) 중고차 감가 방법 기록 : 엄청난 검색 끝에 찾아낸 감가 공식+금액 (f. 제네시스 GV80)

뜬구름홍 2025. 6. 27. 12:00
728x90
300x250

 

https://www.kbb.com/genesis/gv80/2023/

 

안녕하세요. 뜬구름홍입니다.

 

제가 금번에 중고로 GV80을 구매하면서 열심히 공부했던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실 별 내용은 아니지만... 전문가가 본다면 코를 치고 웃을 내용이겠지만요.

 

주식이나 제가 좋아하는 패션 브랜드들의 가격대는 대충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경우는

- 영업이익, PER, R0E, 동종업계 비교, 애널리스트 리포트 등을 확인하면 어느 정도 가격대가 적정한지 그리고 얼마가 저렴한지를 대충 파악할 수 있죠.

 

옷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 제품의 질, 브랜드의 영향력, 대중들의 관심, 디자인 등을 확인하면 어라 이 정도면 충분히 싼데?라는 생각이 들겠지요.

 

반면에 차량에 대해서는 정말 무지했습니다.

 

그저 여러 중고차 플랫폼을 기웃거리면서 옵션, 상태, 외관, KM 수를 보고 비교할 뿐이었죠.

 

하지만! 이런 짓을? 몇 달 동안 해보다 보니 얼추 감가율, 금액에 대해 저만의 노하우가 생겼습니다.

 

그럼 바로 보시죠!

 

(감가 구분) * GV80 기준입니다.

1. KM(킬로수) : 10,000km당 200~300만 원 정도 감가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3년 이내면 300만 원 정도)

 

2. 연식 : 1년 당 200~300만 원 정도 감가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3년 이내면 300만 원 정도)

3. 옵션 : 옵션의 경우 너무 다양하지만 보통 2~3년에 약 30~40% 감가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흔히들 말하잖아요. 선루프의 경우 되팔 때 가격을 받는다고. 제가 이번에 수많은 옵션을 보면서 이 말이 왜 나왔는지 알겠더군요.

 

+ 추가하자면 중고차의 경우 옵션이 많은 차량을 사는 것이 백번 이득입니다. 차라는 것은 풀옵션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혹여나 옵션이 부족하지만 저렴한 차를 샀다가 분명 나중에 그 '옵션' 때문에 후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신차 때 추가했던 옵션 값에 비하면 중고 옵션 값은 가히 혜자 수준입니다.

 

4. 그 외 사고 : 국산차의 겨우 사고가 나도 200만 원 안쪽인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보통 50~100만 원 정도 사고 내역이 많았습니다. 이 정도는... 크게 감가가 될 사유라고 생각 들지는 않습니다. 특히나 범퍼 교체 등의 경우는. 더더욱. 하지만 200만 원이 넘는 사고는 분명 감가의 이유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잦은 사고. 예를 들어 1년에 2~3회 이상의 사고는 뭔가 꺼림칙하긴 하겠죠?

 

5. 휠 + 타이어 상태 : 왜 중고차 플랫폼 사진을 보면 휠 4짝 모두 사진을 상세하게 찍어두었는지 솔직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휠 기스가 났다고 차량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하지만 중요했습니다. 휠 상태에 따라 운전을 어떻게 했는지 가늠이 가기 때문이죠.

 

휠 기스가 많은 차는 아무래도 운전 실력이 미흡하거나 거칠게 운전했을 확률이 있습니다. 반면에 휠이 깨끗한 차량의 경우는 (일반 생활 기스 포함) 분명 차를 조심스레 타고 다녔을 것이라는 암묵적인 말을 해주죠. (왜냐하면 저는 혼다 어코드를 탔을 때... 휠을 참 많이 긁어먹었답니다. 말 그대로 운전 초보였던 셈이죠. 하지만 GLC를 타면서 휠 기스가 단 한 번도 나지 않았습니다. 아마 첨단 사양 - 어라운드 뷰 + 각종 센서 - 덕분이기도 했겠지만요. 뭐 GV80의 첨단 사양은 더하면 더하겠죠?)

 

6. 시트 등 차량 내부 상태 : 이것 또한 중요했습니다. 흔히들 시트에 주름이 많다는 건 자주 타고 내렸다는 증거입니다. 그렇다면 단거리 위주로 다녔을 확률이 높겠지요. 뭐 확실한 건 아니지만 대략 느낌적으로 그렇다는 말입니다. ㅎㅎ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그저 수많은 차량을 보면서 눈칫밥이 생긴 정도니깐요. 또한 차량 내부 상태도 확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리 중고 차여도 실내외가 깨끗한 차를 사고 싶은 게 구매자의 마음이지 않을까요? 향후 몇 년 간을 저와 함께할 차인데,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네시스의 경우 SDS2(시그니쳐 디자인 셀렉션 2)를 적극 추천합니다. 옵션 가격으로 약 300만 원 정도인데, 정말 최고입니다. 기본 시트, SDS1 차량도 시 승해봤는데 SDS2가 가격 대비 만족도 가장 높은 것 같습니다.

 

7. 연식 별 개선 사항 : GV80의 경우 2020년 최초 출시 이후 매년 연식 별 개선 사항이 있었습니다. 동시에 기본 차량 가격도 올랐지만요.

 

예를 들자면, 2022년 애프터 블로우, 조작 버튼 통일화(차선 보조 + 핸들), 뒷좌석 암레스트 수납함 추가 + 뒷좌석 윙 헤드레스트 변경(2열 컴포트 패키지 적용 시) 등의 개선이 있었습니다.

 

또한 2023년부터는 하체 개선 (로어암 알루미늄) 운전석 통합 컨트롤러 노브형(튀어나온 형태) 등이 있었지요.

 

중고차를 검색하면서 참 많은 걸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큰 도움이 되었던 곳은 바로 네이버 카페였습니다. (지금도 자주 방문하고는 합니다. 웬만한 게시글은 다 읽은 듯싶네요^^)

 

종합해 보자면!

 

자잘한 것들 제외(외관 기스, 시트 상태) 해보면,

 

킬로수(KM) 10,000km당 200~300만 원 감가. (최근 3년 이내면 300만 원 정도)

연식 별 200~300만 원 감가. (최근 3년 이내면 300만 원 정도)

옵션 금액 별 20~30% 감가 (3년 기준)

 

순으로 얼추 보시면 될 듯싶네요.

 

이것보다 감가가 큰 차량이다? 그럼 사고나 시트 상태, 휠 등을 살펴보시면 될 듯싶습니다.

 

최대한 저렴하게 구매하고자 하면 - 조금 피곤하겠지만 - 개인 거래도 괜찮아보입니다. 간혹 카페에서 개인 거래 매물이 나오는데 확실히 제 눈에는 시중 가격 보다 저렴하더라고요.

 

그러나 대출, 추후 환불 등을 고려해 봤을 때 저한테는 맞지 않았습니다. ㅠㅠ

 

아무쪼록 GV80 구매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끝!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