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뜬구름 홍 입니다.
오늘은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워낙 제가 전기차, 전기충전소, 배터리 등등에 관심이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 조금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업체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 요약>
1. 업체명 : Li-Cycle (티커 : LICY, 캐나다 기업이나 미국에 상장되어 있음, SPAC 합병)
* 설립 : 2016년 Ajay Kochhar와 Tim Johnston 공동창업(둘 다 HATCH 출신)
** HATCH : 해치는 세계적인 종합 관리, 엔지니어링 및 개발 컨설팅입니다. 그룹 회사에는 70 개 이상의 사무실에 9,000 명 이상의 직원이 있습니다. (출처 : 구글 검색)
2. 규모
(현재) 10,000톤 (5,000톤 : SPOKE 1 - 온타리오, 5,000톤 : SPOKE 2 - 뉴욕)
(22년 초) 10,000톤 추가(SPOKE 3 - 애리조나)
(23년 초) 60,000톤 추가(North American Hub, 뉴욕 로체스터)
3. 매출
(현재, 21년 3분기 기준) $ 792,000 (적자 기업)
4. 파트너 회사 : 얼티엄(LG - GM 합작회사) 등
그럼 얼추 어떤 회사인지 살펴봤기에 간단 리뷰 시작하겠습니다!
(회사 비전)
세 가지 중점 테마 : 지속 가능한 이온 배터리 재활용으로 배터리 공급 체인 MISSING (기존 배터리 공급체인을 없앤다고 생각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저렇게 3가지로 따로따로 있었다면 LICY를 통해 한 번에 끝낼 수 있다는?)
(기술력 - 폐배터리 재활용 등)
1. LICY의 스포크(부시는 단계) & 허브(잘게 부서진 폐배터리에 용액을 넣어 니켈, 코발트 등의 원자재를 추출)를 통해 폐배터리에서 원재료를 추출합니다. (재활용 대상 : 배터리 제조회사의 스크럽, 고장 나거나 손상된 배터리들, 수명이 끝난 배터리들)
2. 그리고 아래의 그림을 보고서는 이제야 폐배터리가 어떻게 재활용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LICY에서 활용하는 SPOKE(부시고) -> HUB(추출)로 재활용되는 모습입니다.(참고로 기존 재활용 대비 95% 비율로 재활용된다고 하네요!)
두 번째 사진이 기존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모습입니다.
간단히 그림으로만 봐도 LICY의 폐배터리 재활용 단계가 상당히 간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 (왼쪽 그림) 보다 상세히 스포크(부시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스포크는 확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오른쪽 그림 : 그리고 허브에서 용매? 를 넣어서 원재료를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또한, 25~30% CO2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발열? 가열하는 방식 대비해서)
(성장성 - 미래 전략 등)
보시면 EV(전기차) 판매는 2030년 26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 규모 또한 2030년에는 2,619 천 톤/년 이 될 것이고 평균 성장률은 19%라고 합니다.
역시나 전기차 판매가 증가될수록 폐배터리 시장 또한 증가하는군요. (당연한 소리이긴 합니다!)
* 참고로 전기차 배터리 사용은 과거 5년에서 7년 ~ 10년 사이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는 배터리 제조사 관련 비중이 25%이지만 미래에는(2025년) 무려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제조사 및 자동차에서 나오는 스크랩 대표 기업들이며, 전기 운송수단 대표 기업들, 마지막으로 환경 및 배터리 재활용 업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출 증가율)
아래는 LICY에서 예상한 매출 및 EBITDA입니다.
연평균 성장률이 82%라니... 정말 가능할까요? 제가 지금까지 조사해온 미국 성장주 중에 성장률만큼은 최고라 생각됩니다... 과연 예측한 대로 매출이 증가할지 한 번 지켜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네요. 만약 예상대로 매출이 증가한다면...
시총의 변화(보수적으로 * ROE 10%) + 주가 변화
시총 : (현재) $ 14억 -> (25년) $ 90억 (만약 20배로 잡으면 $ 180억)
주가 : (현재) $ 10 -> (25년) $ 70 (약 7배 상승)
* 지극히 재미 삼아 계산해보았습니다^^
(주요 고객) : LG에너지 솔루션(LGES)을 대표로 말해주고 있네요. 뭔가 대한민국의 자부심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LGES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EV 배터리 제조업체 중 하나입니다.
LGES는 2025년까지 미국에서 최대 15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GES와 LGC는 Li-Cycle 보통주에 5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하고 거래를 마쳤다. (2022년 3월 13일까지)
LGES와 Li-Cycle은 니켈이 함유된 리튬이온 배터리 고철의 재활용에 협력할 예정이다. + 폐쇄 루프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기타 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
Li-Cycle은 2023년부터 10년간 LGC와 LGE에 배터리 소재를 재활용하고 니켈 20,000톤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경쟁사)
중국, 국내, 유럽 등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해당 내용은 다음에 추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그리고 유용한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전세계 원자재 생산 국가 및 비율을 나타낸 표입니다. 보니깐 미국은 아예 없고 중국이나 남미, 호주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네요. 그렇기에 더더욱 북미를 위해서라도 폐배터리를 재활용하여 원재자 공급을 나서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LICY의 우수한 재활용 기술력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존 방법들 대비 재활용 효율, CO2 배출, 작업자 안전 등등에 대해 LICY만의 강점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주가, 공매도 비율)
- 주가 : 주가는 상장 이후 상당히 많이 내려갔다가 다시 또 내려가고 있네요... (아직 적자기업이고 의미 있는 매출이 나오지 않아서 그런 듯 합니다... 요새 SPAC 주들은 전부 좋지 않네요...)
- 공매도 비율 : 2.87% ('22.1.12 기준)
나름 간단히(?) 작성해봤는데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겠네요.
LICY 덕분에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알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전기 배터리를 사용하는 지금! 기존 석유나 석탄처럼 연소되거나 매립이 불가능하다는 점! 바로 그것이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들의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 원자재 공급 부족 등도 영향을 상당히 미치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일반 건전지 (AA, AAA) 들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마당에, 그 큰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정말 말도 안 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단순히 투자를 넘어 환경과 미래를 위해서라도 이런 기업들이 더더욱 성장했으면 하기를 바랍니다.
그럼 모두들 건강하시고 성투하셔서 부자 되세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소파이(sofi) 은행 지주회사 승인(자회사 : SoFi Bank, 인수 2월 예정) (0) | 2022.01.19 |
---|---|
(Ver. 2) 힘든시기? 5+년 후 예상 시총, 주가 계산해보기(f. CHPT,PTRA,SOFI, LICY) (0) | 2022.01.16 |
차지포인트(chpt) 따끈한 최신 투자 보고서(22/1/3) (f. 매출구조) (0) | 2022.01.08 |
2부. 키네마스터란? (f.재무제표, 특이사항 - 앱스토어 수수료 약 30%) (1) | 2022.01.01 |
1부. 키네마스터란? (f. 기업 소개, 매출, 판매방법, 업계 현황 등) (0) | 2022.01.01 |